
별 생각없이 사용하던걸 글로 남기려니 어렵다. 내가 제대로 알고 있는거였는지 싶다. 일단 아는데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1. 우리가 Annotaion 을 걸고 작성하는 클래스들은 Component 의 일부이다. @Controller, @Service 등등. 2-1. Spring 은 Component Scan 이라는 동작을 통해 Component 들을 Bean 이라는 객체 단위로 묶고, 활용한다. 2-2. 물론, Annotaion 이 걸린 대상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코드로 작성해서 주입되는 Bean 들도 있다. 3. Spring 이 동작할때, 기본적으로 주입되는 Bean 들이 존재한다. Filter, Security 등등. 4. 대부분 필수적인 Bean 들은 Auto Configuration 에 의해..

내 로컬 환경 및 테스트환경에선 h2-console을 이용하고 운영 환경에선 mysql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에따라 application.properties 를 환경변수에 따라 동적으로 구성하게 만들도록 한다. (.properties 대신 .yaml, .yml 을 써도 되겠지만, 일단... 큰 차이도 없으니 구식으로 가자...) 말은 거창하지만 사실상 Spring이 알아서 처리해주기때문에 간단하다. application-(환경변수로 쓸 이름).properties 파일을 각각 생성해주고, - application.properties server.port=8080 server.servlet.context-path=/ ## [START] JPA ## spring.jpa.hibernate.ddl-auto=upd..
토이 프로젝트를 생성하며, 기존처럼 Auth(spring) Front(node) API(spring) (그림으로 바꿔야 ... ) 구조를 취하려 했다. 그런데 Spring Authentication Server 가 한번 Deprecated 됬던적도 있었고, (스프링에서 인증 역할은 서드파티(구글, 깃헙 등)에 맡기는게 좋겠다며 뺏었는데, 반발이 심해서 다시 검토한다고 봤던게 마지막 기억이다... 다시 확인해봐야지) 그렇다고 자체 인증 없이 서드파티 인증만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따로 구성하자니 괜시리 복잡해지는 감이 있어서, 우선은 스프링 단일 프로젝트로 구성하기로 했다... 일단 뭐라도 만들어보고, 여유가 되면 API 프로젝트는 찢어봐야겠다. - pom.xml 4.0.0 org.springframe..
- Total
- Today
- Yesterday
- Specification
- auditing
- Cloud SQL
- Cosseys Dam
- Hunua Falls
- EnvironmentAware
- springboot
- express
- pinia
- nodejs
- Spring
- AWS
- Browns Bay
- JPA
- BeanFactoryPostProcessor
- github-actions
- @Profile
- @Validated
- k8s
- GCP
- jquery
- istio
- Waitawa Regional Park
- Murrays Bay
- vue3
- BannSang Korean
- Spring Cloud Config
- Pinehill
- kubernetes
- dock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