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uejs 프로젝트하다가 계속 딴길로 새고 있는거 같다. 카테고리가 주구난방이다. 어쨋든 Passport 를 사용한 Google oAuth2.0 인증 이다. 사실 홈페이지 가이드만 따라했기때문에 별 내용이 없다. 1. OAuth 동의 화면 작성 : GCP Console -> API 및 서비스 -> OAuth 동의 화면 으로 이동하여, 항목을 작성해준다. 사실 정식 도메인이 나온 이후에 작성해야할 내용으로 보이는데, 어째선지 먼저 작성을 해야 oAuth Client 를 생성할 수 있다. 2. OAuth 2.0 Client 생성 : GCP Console -> API 및 서비스 -> 사용자 인증 정보 상단의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를 통해 Client 를 생성해준다. 3. Passport 구성 js co..

간단히 말하면, AWS 의 인스턴스처럼 가상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지만, 어플리케이션을 한 개, 기반이 되는 언어가 고정( Java, Python, Node 등 )된다는 특징이 있다. GCP 내에는 Compute Engine 이라는, AWS EC2 와 동일한 서비스가 있는데, 가상 서버 세팅의 자유가 더 보장됨에도 이쪽이 더 비싸다. 희안하다. 아무튼 구글이 츄라이를 외치는데다가, 현재로썬 굳이 Java 혹은 Docker 세팅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기에 사용해봤다. https://cloud.google.com/appengine/docs/standard/nodejs/quickstart App Engine 표준 환경에서의 Node.js 빠른 시작 | Node.js 문서를 위한 App Engine 표준 환경 Ap..
node-express 를 사용하여 POST, PUT 등 body 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본인은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를 애용하고, ( body: a=test&b=test ) 간헐적으로 "application/json" 을 사용한다. ( body: { "a": "test", "b": "test" } ) 그런데 이번에 "application/xml" 혹은 "text/xml" 로 들어오는 케이스를 만났다. ( body: testtest ) ( xml 은 구조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있어서, 위와같이 단순하진 않다 ) body 를 통째로 String 으로 받아 별도로 치환을 진행하려 했지만... 위험한 강을 건너기보단 안정화된 모듈을 사용했다. https://www...
- Total
- Today
- Yesterday
- Hunua Falls
- jquery
- Cloud SQL
- Cosseys Dam
- @Profile
- k8s
- Spring
- pinia
- Specification
- BannSang Korean
- github-actions
- nodejs
- Waitawa Regional Park
- vue3
- BeanFactoryPostProcessor
- Pinehill
- auditing
- kubernetes
- Spring Cloud Config
- express
- springboot
- EnvironmentAware
- @Validated
- Murrays Bay
- docker
- Browns Bay
- istio
- JPA
- AWS
- GC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